2018. 11. 10. 20:05ㆍIT/JAVA
void main()
void는 무효란 뜻으로 return하는 값이 없다라는 뜻.
int main()
int는 프로그램이 종료되었을때 어떤 경우로 종료되었는지 숫자로 리턴하기 때문에.
main메소드가 없다면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시작할수 없다.
자바에서 main은 리턴값이 없는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래서 void를 쓴다.
public
====== > 접근제한자(젭근한정자)
public라고 쓴 클래스는 파일명을 꼭 클래스이름과 동일해야 한다.
public이 없는 클래스는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public 클래스는 한파일에서 한개만 존재한다.
class Hello // 클래스 이름의 첫 글자는 대문자가 좋다.
{
// 맴버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
// 매소드를 정의할 수 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여기엔 실행하는 처리들을 기술(메소드내부 변수 선언도 가능하다.)
System.out.println("Hello");
// System 클래스, out 필드는 컴퓨터의 표준출력장치를 뜻함, println는 매소드이다.
// println = print + new line
// 라인을 바꾸지 않을려면 System.out.print("Hello"); 를 쓰면 된다.
}
}
System.out.println("kk"); // 이 문장은 반환값이 없다. void임. 즉 c = System.out.println("kk"); 시 반환값이 없어서 에러가 남.
예제
int a = 2147483647; // 정상 출력
int a = 2147483648; // 상수가 int 범위를 벗어남, 결코 int a 때문이 아니다.
long a = 2147483648; // 상수가 int로 지정되어 숫자 범위를 벗어남
long a = 2147483648l; // 정상 출력
* 에러가 발생하면 컴퓨터가 맞다라고 생각하자. 컴퓨터는 100% 정확하다.
* 문자열은 문자열 클래스의 객체(object or instance)이다.
boolean tag = true;
boolean tag = false;
* boolean 변수는 조건문을 나타낼때 많이 사용됨
* +연산자를 이용, 변수들을 연결하여 문자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
String apple = "사과";
int a=3;
String fruit = apple + a + "개"; // 여기서 int a는 자바가 알아서 문자열로 변환시킨다.
* % 연산자는 요일계산할때 사용된다. 또 홀수 짝수 구별할 때 사용된다.
4 5 6 0 1 2 3
일 월 화 수 목 금 토
class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25, b=5, c=7;
float d, e;
d = a/b;
e = a/c;
System.out.println(d);
System.out.println(e);
}
}
결과
C:\project_yhw720>java Hello
5.0
3.0
왜????????????????????
정수로 입력받았기때문에 그런거 아닐까??? -> a와 c가 정수이기때문에 3.57xx 이란 값을 가지지 못하여 3.0이 될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d = (float)a/(float)b;
e = (float)a/(float)c;
이런식으로 고쳐주면 실수로 계산된 값이 실수로 저장된다.
d = (float)a/b;
e = a/(float)c;
형이 작은 int가 float으로 자동으로 변환된다.
:::::::::::: 과제 ::::::::::::
정수가 아닌, 1~10사이에 존재하는 실수의 정수부분과 소수부분을 따로 구분하여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숫자 3.75의
정수부분은 3이고
실수부분은 0.75입니다.
* 정답
class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loat a=3.75f;
int b = (int)a;
float c = a - b;
System.out.println("숫자"+a+"의");
System.out.println("정수부분은 " + (int)a +"이고");
System.out.println("실수부분은 " + c + "이다");
}
}
'I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기초] 중간고사: 문제 해결 능력 기르기 (0) | 2021.03.22 |
---|---|
[자바기초] 객체 설계하기 연습문제 (0) | 2021.03.21 |
자바 7강 - 객체 배열, 러시안 루울렛, 상속, 서브 클래스 (0) | 2018.11.27 |
자바 6강 - 객체지향과 절차지향의 차이, 접근자, 클래스, 객체 (0) | 2018.11.27 |
자바 5강 - switch, for, 배열 (0) | 2018.11.27 |
자바4강 - if문, while문, 비교연산자 (0) | 2018.11.11 |
자바3강 - 기초문법 (0) | 2018.11.10 |
자바 1강 - '안녕하세요?' 출력하기 (0) | 2018.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