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 RT-AX86U 개봉 및 설정기

2022. 11. 23. 21:14IoT Life


원래 AP는 삼성 커넥트 프로(IoT HUB + AP) 라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나온지 꽤 된 모델인데 802.11ac까지 지원해서 스마트폰으로 866Mbps까지 속도를 낼 수 있는 아주 고마운 녀석이였죠. 기본 기능에 충실해서 정말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펌업이 되면서 갑자기 포트포워딩 기능이 동작하지 않아서 따로 AP를 운영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UPLUS에서 받은 AP를 설치했는데 속도 빠르고 좋았습니다. 그런데 가끔씩 비정상적으로 핑이 높아지고 속도도 Kbps대로 나오고 아주 난리 부르스를 치더군요. 이것때문에 오버워치도 계속 튕겨서 짜증이 났습니다. 혹시나 펌웨어 버전이 너무 낮아서 그런가 싶어서 펌웨어 업데이트 메뉴를 찾아보았는데 없더라고요. 개인이 직접 펌업도 못하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게다가 낮동안은 집에 없기때문에 인터넷 사용량이 극히 적어야하는데 80GB를 사용 했더라고요. 뭔가 공공재가 된 느낌이 들어서 UPLUS AP는 사용하지 말아야겠다고 판단...AP때문에 스트레스 받기 싫어서 제일 성능 좋은 AP로 설치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아내도 UPLUS AP의 느린 반응 속도때문에 짜증이 나 있던 상태라서 어렵지 않게 허락을 구 할 수 있었습니다. 마침 하이마트에서 할인을 해서 30만원에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해요! 하이마트!

언박싱

RT-AX86U 박스샷

주문하고 며칠이 지나니 배송이 완료 되었습니다. 엄청난 크기의 AP 박스에 놀랬습니다. 30만원짜리는 박스부터 다르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겉박스 안에 복복이로 정교하게 감싸진 ASUS AP박스를 발견! 기쁜마음으로 미친듯이 뜯었습니다. 개봉하니 설치 팁이 가장 먼저 반겨주었는데요. 원래 이런거 안보고 하는지라..패싱했습니다.
그 밑에 본체, 안테나, 어탭더, 랜케이블 이렇게 구성되어 놓여져 있었습니다. 랜케이블이 근데 CAT6이상이 들어있을 줄 알았는데 CAT5e더군요. 뭐 둘 다 1Gbps를 지원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습니다만, 30만원짜리 AP인데 좀 좋은거 넣어주지 째째하게 이게 뭐야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보증기간은 구입하고나서 3년간인데 ASUS가 가용성엔 자신이 있나 봅니다.
안테나 3개를 본체에 돌려 돌려서 껴주었습니다. 안테나가 좀 튼튼하게 생겨서 엄청 쎄보이네요.

안테나가 쎄보임

잠깐 본체 포트를 왼쪽부터 살펴보면, DC JACK, 전원 스위치, USB 3.0 2포트, 2.5G WAN/LAN, WAN, LAN 4Port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른쪽 옆구리에 WPS버튼이 숨겨져 있네요.

설치하기

1. 싸구려 저질 LG UPLUS AP를 걷어내고 오늘의 주인공 ASUS AP를 설치해주었습니다. WAN이라고 쓰여진 부분에 인터넷 선을 연결하고요. LAN포트에 우리집 네트워크를 연결해줍니다. 그리고 전원을 키면 흰색불이 들어옵니다!
2. AP설정 및 계정연동을 위해서 구글 플레이에서 asus router라고 검색하고 설치합니다. 그리고 구글 계정과 연동을 시킵니다. 완료까지 시간이 좀 걸리더군요. 중간 중간에 추가 액세스 등 뭐해달라고 자꾸 귀찮게 하는데요. 그냥 모든 권한을 부여해줍니다.
3. 안드로이드 WIFI 설정으로 이동하고 기본 SSID인 'ASUS_00'을 선택한 후, 비밀번호를 입력해줍니다. 비밀번호는 본체 뒤에 있습니다.
4. ASUS Router App에서 설정(새 라우터 설정) > ASUS RT 시리즈 라우터 > 내 위치 액세스에서 '앱 사용 중에만 허용' 클릭하고 [확인] > ASUS Router 계정을 사용해 로그인이라고 아이디랑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되는데 이건 구글 아이디와는 별개로 AP를 접속하기 위한 계정입니다. 기본값은 admin / admin입니다.
5. 최초 로그인 후, 이 계정 정보를 바꿔주어야 하는데요. 사용자 이름은 admin이 아닌 다른것을 사용하는걸 추천합니다. 또한 비밀번호도 아주아주 복잡하게 만들어서 적어줍니다. 저는 enpass라는 어플을 사용해 엄청 강력한 비밀번호를 생성했습니다. 이렇게 복잡한 비밀번호를 만드는 이유는 보안을 위해서 입니다. 기본적으로 외부에서 접속 할 수 있도록 포트가 열려 있는데 AP가 뚫려버리면 AP 각종 설정, NAS 무단 접근 등 털릴게 많습니다. 입력하기 귀찮아도 보안을 위해서 엄청 복잡하게 만들어주세요.
6. 그 다음부터 [동의] > [동의]를 눌러 주면 AP와 구글 계정간 연동이 마무리 됩니다. 갤20+와 접속된 속도를 확인해보면....1.2Gbps로 접속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나온 ax단말기로 연결하면 더욱 빠르게 연결 될 수 있습니다. 이 AP가 최대 5.7Gbps까지 연결되거든요.ㅎㅎ
7. 내친김에 http://fast.com 에 접속하여 인터넷 속도를 측정해보았습니다. 참고로, 우리집은 500Mbps짜리 인터넷입니다. 다운로드 450Mbps / 업로드 410Mbps로 아주 준수하게 속도를 뽑아주는군요! 이제부터 ASUS랑 좋은 추억을 만들어야겠습니다.

실전 테스트

이제 진짜 빠른지 실전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우리집은 29평 4베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포인트 6곳을 선정했습니다. 테스트 조건은 갤럭시 20+를 포인트로 이동해서 무선LAN을 OFF/ON한 후 접속 무선LAN접속속도와 인터넷 속도를 측정합니다.
여기서 무선LAN접속 속도는 내부 네트워크로 통신할 때 속도이고, 인터넷 속도는 넷플릭스, 유튜브, 웹서핑 등 외부와 통신할때의 속도입니다. 인터넷 속도는 제가 가장 신뢰하는 속도 측정 사이트인 fast.com에서 진행했습니다.

테스트 결과 AP가 설치된 거실이 가장 빠르게 측정되었습니다. AP 본체 정방향에 있는 회복실, 쿠루가이방, 공용 화장실은 대체로 좋은 속도를 뽑아주었습니다. 안방도 꽤 빠르게 나왔는데요. 문제는 3번 안방화장실이였습니다. 와이파이신호가 꺽이고 꺽여서 들어오는 좀 복잡 경로를 가진 곳인데 역시나 속도가 처참합니다. 그래도 넷플릭스 감상, 웹서핑은 못할 정도는 아니였습니다. 화장실을 위해서 MESH 구성을 해야되나 싶지만 화장실에서 어떤 대단한 일을 하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참아봅니다.

UPLUS IPTV 설정하기

ASUS AP는 기본적으로 LAN에 방송용으로 사용하는 D클래스 주소(224.0.0.0 ~ 239.255.255.255)를 막아놓았기 때문에 UPLUS TV를 볼 수 없습니다. 따로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요.
고급설정 > LAN > IPTV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LAN 포트
- ISP 프로파일 선택 : 없음
- IPTV STB 포트 선택 : 없음

특수 애플리케이션
- DHCP 라우트 사용 : Microsoft
- 멀티캐스트 라우팅 사용 : 사용
- Default IGMP version : IGMP v3
- Enable Fast Leave : 사용안함
- UDP 프록시(udpxy) : 0

포트포워딩 설정하기

Plex는 집안은 물론 집밖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해야합니다. 집밖에서 시청하기 위해서는 공식PLEX 서버에서 제가 설치한 PLEX서버에 접근 할 수 있어야하는데요. 접근을 할 때 32400 이라는 TCP 포트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중간 에 ASUS AP가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공인IP주소는 ASUS AP가 가지고 있고 내부 네트워크에는 사설IP 대역(192.168.50.XXX/24)로 부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연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포트포워딩을 사용하는것입니다.
대충 원리는 이렇습니다. 공식PLEX서버에서 ASUS AP의 IP로 TCP 32400 연결을 시도합니다. 포트포워딩 명세에 32400이 있다면, 명세에 적힌 IP주소로 패킷을 전달(포워딩)을 해주는 것입니다. 어찌보면...전송계층단에서 IP라우팅을 해준다고 봐야할까요.ㅎㅎ
인바운드 : 공식PLEX서버 >>> ASUS AP >>> 자체PLEX서버
아웃바운드 : 공식PLEX서버 <<< ASUS AP <<< 자체PLEX서버
뭐 서론이 길었는데요.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급설정 > WAN > 가성 서버 / 포트 포워딩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기본구성
- 포트 포워딩 사용 : ON

포트 포워딩 리스트
- 서비스 이름 : PLEX
- 외부 포트 : 32400
- 내부 IP주소 : 192.168.50.100
- 프로토콜 : TCP
- 나머지는 기본값